250x250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코딩테스트
- equals()
- @configuration
- fielderror
- 티스토리챌린지
- 싱글톤
- 인터페이스
- 의존관계
- 다익스트라
- objecterror
- http 메시지 컨버터
- 추상클래스
- 테스트코드
- 프로그래머스
- 스프링컨테이너
- 스프링
- 서블릿
- java
-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
- 코드트리조별과제
- DI
- 백준
- 오버라이딩
- 김영한
- html form
- HttpServletResponse
- 오블완
- 코드트리
- 참조변수
- 프록시
Archives
- Today
- Total
minOS
백준 3184 양 본문
728x90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184
타임라인 & 사고 과정
7:09 AM — 초기 아이디어
BFS로 먼저 같은 영역을 구한다. 울타리 #를 기준으로 연결된 칸들을 하나의 영역으로 본다. visited 배열로 중복 탐색을 막는다. 영역을 구한 뒤, 그 영역 안에서 양/늑대 수를 센다. 영역 탐색이 끝난 다음에 한 번 더 훑어서 o/v 개수를 세려 했다. 두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나? 처음엔 “영역 → 카운트”를 분리해서 생각했는데, BFS가 어차피 모든 칸을 큐에서 꺼낼 때 다 방문하니, 그 순간에 바로 카운트하면 한 번에 끝낼 수 있을 듯.
8:01 AM — 수정된 결론
동시에 해야 했음. 같은 영역을 BFS로 확장해 나갈 때, 그때그때 o와 v를 함께 누적하는 게 맞다. 다만, 이렇게 바꾸다 보니 코드가 길고 분기(조건문) 중복이 생김 → 리팩토링 필요.
왜 “동시에 세기”가 맞나? (논리 근거)
BFS는 한 영역을 정확히 한 번씩 방문한다. “영역을 다 돈 뒤 다시 세기”는 한 영역을 사실상 두 번 훑는 셈이라 비효율. 큐에서 꺼낸 시점에 o/v를 더하면, 영역 탐색과 카운트를 O(R×C) 단일 패스로 끝낼 수 있다. 또한 “영역 내 비교(양 > 늑대면 늑대 0, 아니면 양 0)”는 그 영역의 BFS가 끝나는 시점에만 하면 된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r,c = map(int,input().split()) graph = [input()for _ in range(r)] visited = [[0 for _ in range(c)] for _ in range(r)] q= deque() def bfs(): global o,v direction = [(1,0),(0,-1),(0,1),(-1,0)] while q: x,y = q.popleft() for dx, dy in direction: nx = x+ dx ny = y+ dy if 0<=nx<r and 0<=ny<c and not visited[nx][ny] and graph[nx][ny] != "#": if graph[nx][ny] == "v": v+=1 if graph[nx][ny] =="o": o+=1 q.append((nx,ny)) visited[nx][ny]=1 if o> v: v=0 else: o=0 return (o,v) ans_o =0 ans_v=0 for i in range(r): for j in range(c): o=0 v=0 if graph[i][j] == "v" and not visited[i][j]: v+=1 q.append((i,j)) visited[i][j] =1 a,b=bfs() ans_o+=a ans_v+=b if graph[i][j] == "o" and not visited[i][j]: o+=1 q.append((i,j)) visited[i][j] =1 a,b=bfs() ans_o+=a ans_v+=b if graph[i][j] == "." and not visited[i][j]: q.append((i,j)) visited[i][j] =1 a,b=bfs() ans_o+=a ans_v+=b print(ans_o,ans_v)
728x90
'Problem Solving > 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2670 연속부분최대곱 (0) | 2025.07.15 |
---|---|
백준 2578 빙고 (2) | 2025.07.08 |
백준 1719 택배 (0) | 2025.07.06 |
백준 5567 결혼식 (1) | 2024.12.30 |
백준 2941 크로아티아 알파벳 (1) | 2024.12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