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JSON
- http 메시지 컨버터
- 서블릿
- 다형성
- HttpServletResponse
- 싱글톤
- 스프링컨테이너
- java
- fielderror
- html form
- 코드트리
- 스프링
- DI
- 참조변수
- 코딩테스트
- 추상클래스
- 코드트리조별과제
- 김영한
- 백준
- 인터페이스
- 예외와 트랜잭션 커밋
- 프록시
- objecterror
- 티스토리챌린지
- equals()
- 오블완
- 테스트코드
- 오버라이딩
- @configuration
- 의존관계
- Today
- Total
목록한사랑 코딩회 (3)
minOS
팀원 A와 이야기 한 후 어찌어찌 코드를 고쳤지만 .. 근본적인 문제가 고쳐지지 않은 것 같다고 생각했다 A는 해당 문제를 프론트에서 해결하면 된다고 했는데 , 처음엔 그 말을 이해하지 못했다. 4시 이후에 A 코드를 뜯어 봤는데 응답 값으로 UUID를 주기 때문에 프로트에서 해결하면 된다는 말이 이해가 됐다. 이번 계기로 느꼈지만 남의 코드를 보는 건 진짜 어렵다 .. 아마 역으로 내 코드도 남이 보기 어려울 것이다. 그래서 가독성 좋은 코드가 높은 평가를 받는다는 것을 느꼈다. 오늘 또 알게된 사실은 요청 후 응답객체를 반환해줘야 한다는 것이다. 이걸로도 사실 팀원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나 빼고는 전부 요청이 성공했다는 상태코드와 메세지만 반환하자고 했다. 나는 여러 이유로 , 그리고 느낌 상 ..

프로젝트 시작일 2/12 이슈 : 사다리 타서 팀장이 됐다.첫날에는 자진해서 팀장이 된 것이 아니라서 나는 허수아비 팀장이라고 생각했다. 실제로 그 날은 리더 역할도 하지 않았다.나는 특정 튜터님께 하루에 한번씩 방문하는데 과정이 어떻든 나는 팀장이고 맡은 역할에 있어 최선을 다해야한다는 말씀을 듣고 팀장으로서 책임감이 생겼다. 내가 팀장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일정 관리 , 개발 과정 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언제까지 구현하고,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, 디벨롭을 할 일정들을 먼저 정했다. 그리고 "개발 규약을 정하자" 이렇게 주제를 던져서 단계 단계 별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. 그리고 모든 팀원의 상태를 확인하고 , 의견을 말하지 않으면 특정하여 의견을 말해달라고 하기도 하였..

주문 관리 플랫폼 프로젝트 시작 전 API 명세서, 테이블 명세서,ERD명세서,인프라 설계서 작성을 했습니다.API 명세서API 명세서란?API의 사용 방법, 요청 및 응답 형식, 엔드포인트, 인증 방식 등을 정의한 문서입니다. 개발자들이 API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✅ API 명세서를 개발 전에 작성하면 좋은 점원활한 협업 → 백엔드·프론트엔드 간 API 형식을 미리 정의해 혼선 방지 개발 속도 향상 → 프론트는 목업 데이터 활용 가능,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 감소 테스트 및 문서화 용이 → 자동화 테스트 작성 가능, 유지보수 쉬움 일관된 API 디자인 유지 → HTTP 메서드·응답 형식 통일, RESTful 원칙 준수 변경 사항 관리 용이 → API 변경 이력 추적 가능,..